•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 경비·청소 노동자 "새 정부, 최저임금 인상을"

등록 2025.06.12 11:39: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노동권익센터 '최저임금 모니터링'

소상공인 사업주는 "손실 보상, 카드 수수료 인하, 공과금 감면을"

[광주=뉴시스] 광주노동권익센터. (사진=광주노동권익센터 홈페이지 갈무리·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광주노동권익센터. (사진=광주노동권익센터 홈페이지 갈무리·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이재명 정부에 광주지역 편의점·경비·청소미화 종사자들은 '최저임금 인상', 사업주들은 '소상공인 손실 보상'을 요구했다.

12일 광주노동권익센터가 노동자 501명, 사업주 1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광주지역 최저임금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광주지역 최저임금 준수율은 84.8%로 지난해 대비 2.1% 낮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준수율이 98.9%로 가장 높았고 편의점이 73.6%로 가장 낮았다.



새 정부가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노동정책에 대한 질문에는 편의점·마트·음식점·카페·판매·경비·청소미화·제조업 분야 노동자의 경우 '최저임금 인상'이 146건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어 '5인 미만 사업장 초단시간 근로기준법 전면적용' 122건, '비정규직 사용제한' 93건, '사회보험 적용 확대' 71건 순으로 요구했다.

사업자의 경우 '소상공인 손실보상'이 7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카드 수수료 인하' 59건, '공과금 감면' 57건, '대출 연장' 50건 순이다.



연차휴가·연장근로 수당·주52시간제 등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에 대해서는 '모든 노동자에게 전면 적용해야 한다'가 49.5%로 가장 높았으며 사업주는 '현행대로 해야 한다'가 25.7%로 가장 높았다.

'만 60세 정년 연장'은 노동자와 사업주 각각 72.9%, 64.3%가 찬성했다.   

'2026년도 희망 최저임금'은 노동자 26.7%가 300~400원 인상을 요구했으며 사업주의 경우 68.4%가 '동결'을 선택했다.

정찬호 센터장은 "최저임금 준수율은 평균 84.8%이지만 지난해 86.9%보다 낮아졌다"며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해 노동자·소상공인 모두 고통을 겪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청소년 노동이 많은 편의점은 법정 규정 준수율이 타 업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관계기관의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gryu77@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